학과안내

학과소개

커뮤니케이션학과

홈페이지 : http://www.kwmedia.info/

학과소개

커뮤니케이션학과 대학원은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미디어,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고 해석하는 이론 분석 및 개발을 교육 목표로 추구한다. 나아가 학문 발전의 성과를 현실에 적용함으로써 이론의 사회적 효용성 제고 및 현실 사회 문제를 진단하고 솔루션을 제시하는 능력을 갖춘 고급 커뮤니케이션 전문인 양성에 힘쓴다.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은 휴먼커뮤니케이션,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정책, 문화산업, 언론, 방송 및 영상, 문화, 디지털 테크놀로지, 광고와 마케팅, 홍보, 공공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및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은 10명의 교수진들로 운영된다.

학과 교육목표

전문성 : 이론적 심층성과 독창성 확립
창의성 : 멀티미디어 융합시대에 적합한 창의적인 사고능력 배양
실용성 : 연구 성과의 현실적용 능력 및 사회적 유용성 제고

커뮤니케이션학과 대학원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고급인력을 양성을 목표로 한다. 나날이 급변하는 미디어환경에서, 사회과학의 한 분과로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학문적인 깊이와 폭을 갖추는 한편, 현실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주도하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미래의 연구자들을 양성하고자 한다.

학과 교육목적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고급 전문인력 양성

연혁

본 대학원 산업심리학과에서는 심리학의 다양한 전공가운데 산업 및 조직심리학과 인지 및 지각심리학, 광고 및 소비자 심리학, 상담심리학, 코칭심리학으로 다양한 방면에 초점을 두고 이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1990년 3월 신문방송학과 학부 신설 및 신입생 모집
1990년 3월 이창근, 김광수 교수 부임
1993년 3월 임태섭 교수 부임
1994년 3월 봉두완 교수 부임
1995년 3월 주동황 교수 부임
1996년 3월 김현주 교수 부임
1999년 8월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신설 및 신입생 모집
2000년 3월 이준웅 교수 부임
2001년 3월 학부 신문방송학과가 미디어영상학부로 확대 승격
2003년 3월 부경희 교수 부임
2004년 3월 문상현 교수 부임
2007년 3월 오문석 교수 부임
2007년 9월 정동훈 교수 부임
2008년 3월 김예란, 정일권 교수 부임
2009년 3월 이종혁 교수 부임
2011년 3월 오은석 교수 부임
2016년 3월 임소영 교수 부임
2016년 3월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로 학과명 변경
2017년 3월 현재 재학생 석사과정 3명, 박사과정 6명, 석박통합과정 4명
수료생 석사과정 4명, 박사과정 30명, 석박통합과정 2명
학위수여생 석사과정 27명, 박사과정 42명, 석박통합과정 1명

교과과정

전공 공통

(석 박)[공통]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Ⅰ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Ⅰ)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과학적 방법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 박)[공통]커뮤니케이션이론Ⅰ (Communication TheoriesⅠ)
커뮤니케이션 이론이란 무엇인가로 시작,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성격과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접근 방법을 논의하고 여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소개한다.

(석 박)[공통]IMC캠페인 (IMC campaign)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수용자(소비자)들은 자신들의 needs(욕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를 전달하는 송신자의 입장에서 기업이나 정부도 역시 미디어 형식에 맞는 다양한 메시지 전략이 필요하다. 이 수업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맞는 전략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은 어떠한지 이론적 & 실무적인 차원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석 박)[공통]PR세미나 (Public Relations Seminar)
PR에 관한 철학적 접근과 사회문제 의식을 갖고 그 역기능과 향후의 이론적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과목이다.

(석 박)[공통]PR연구Ⅰ (Public relations researchⅠ)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이론에서부터 여론과 선전(propaganda) 등 PR 연구를 위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개념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심층적인 PR이론을 습득함으로서 관련 연구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다지는데 목적을 둔 과목이다.

(석 박)[공통]PR이론연구 (Public Relations Theory)
PR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의 주제를 모색하고 실제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 박)[공통]고급통계분석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졸업논문 및 학술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통계방법론의 이해, 데이터 취합 및 정리, 통계소프트웨어를 다룬다. 특히, 신문방송 광고와 관련된 학술논문을 이해하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석 박)[공통]공공소통세미나 (Public communication seminar)
커뮤니케이션의 트랜드 변화와 매체 혁명 등으로 인해 최근에 요구되는 새로운 연구 경향을 학습한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개념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이론화하기 위한 수강생 개별 연구 프로젝트 수행형 수업이다. 세미나 형태의 수업을 통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교수와의 1:1 연구 프로젝트를 선정 후 한 학기 동안 완성도 있는 연구 논문을 작성해 나가는 수업이다.

(석 박)[공통]공공 커뮤니케이션과 PR캠페인 연구 (public communication & public relations campaign)
본 과목은 PR, 캠페인, 사회이론 등을 포괄적으로 조망함으로써 공중관계,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개념과 이론을 체계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PR의 기본이론, 공공 캠페인 이론, 사회이론을 통한 PR캠페인 가치와 의미 고찰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국내외 논문 및 문헌 등을 통해 관련 연구의 체계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석 박)[공통]국제커뮤니케이션 (International Communication)
Globalization 현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세계화 현상과 미디어의 관련 문제를 세부 주제별로 살펴본다.

(석 박)[공통]뉴미디어와정보사회 (New Media & Information Society)
기초 이론과 응용분야 토론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의 진화에 따른 사회 변화를 이해하고 분석한다.

(석 박)[공통]뉴미디어와크리에이티브 (New Media and Creativity)
다양한 분야의 미디어에서 근간이 되어진 creative imagination을 리서치해보고, 과거와 현재에 있어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미래의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를 함양하도록 한다.

(석 박)[공통]뉴미디어테크놀로지세미나 (Seminar in New Media & Technology)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기존 미디어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혹은 어떻게 변화했고) 새롭게 탄생한 미디어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사회 변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석 박)[공통]디지털문화연구 (Digital Media Culture)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가 급속하게 발전, 보급되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가 일상생활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 본 수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사용이 한국사회의 맥락과 만나 형성되는 다양한 문화적 지형과 그 사회과학적 함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유관 주제에 대한 수강자 개인의 연구관심사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과정에서, 학술논문 작성에 필요한 비판적 문헌검토 및 연구문제 설정 방법을 습득하고, 해당주제에 적합한 방법론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석 박)[공통]디지털미디어메가트렌드 (Digital Media Megatrend)
미디어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콘텐츠(C), 플랫폼(P), 네트워크(N), 디바이스(D) 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살펴본다.
- 콘텐츠: 생산과 유통(생애)의 주기가 새로운 플랫폼(P), 네트워크(N), 디바이스(D) 의 등장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고찰한다.
- 플랫폼: 각국의 OTT, Catch-up 서비스의 운영방식과 시장성과를 살펴본다.
- 네트워크: 발전 현황과 차세대 네트워크 산업(LTE Broadcasting, internet of things)
- 디바이스: 모바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발전방향, 디지털 사이니지의 현황과 발전방향

(석 박)[공통]디지털미디어와사회심리 (Digital media & social psychology)
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매체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문화, 이용자, 자아 등 미디어 이용의 맥락을 여러 가지 사회심리학적 개념에 기초하여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석 박)[공통]디지털콘텐츠유통과저작권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and Copyright Act)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과정에서 저작권법이 장애가 되지 않도록, 기본적인 법이론을 학습하고 나아가 이를 현실에 적용해 보는 연습을 해 보도록 한다.

(석 박)[공통]라이프로깅이해하기 (Understanding lifelogging)
Lifelog refers to a comprehensive archive of an individual's quotidian existence, created with the help of pervasive computing technologies. A life-log is conceived as a form of pervasive computing consisting of a unified digital record of the totality of an individual's experiences, captured multimodally through digital sensors and stored permanently as a personal multimedia archive. Lifelog technologies would record and store everyday conversations, actions, and experiences of their users, enabling future replay and aiding remembrance. The emergent interest in the concept of lifelogging stems from the growing capacity to store and retrieve traces of one's life via computing devices. This class will discuss how to measure and analyze lifelogging data, and find implications of them based on a psycho-sociological apprach.

(석 박)[공통]마케팅커뮤니케이션 (Marketing Communication)
광고, 홍보, 판촉 등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문제들을 꺼내어놓고 효과 및 방법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 접근을 시도한다.

(석 박)[공통]마케팅커뮤니케이션뉴트렌드 (New Trend in Marketing Communication)
시장이 변하면서 소비자, 매체가 같이 변하고 있다.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수단도 다양하게 새로운 모습으로 재포장되고 있어 이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석 박)[공통]문화연구의이론과방법론 (Theory and Methodology in Cultural Studies)
본 수업에서는 문화연구 영역에서 발전해 온 주요 이론과 방법론을 상호연관성 안에서 탐구한다. 이를 통해 추상성과 구체성을 겸하고, 이론과 방법론을 유기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미디어 문화를 연구함에 있어 필수적인 요건인 비판적인 해석력과 엄밀한 분석력을 균형적으로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석 박)[공통]미디어경영조직론 (Management of Media Organizations)
미디어 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한국 미디어 산업의 생산, 분배, 소비 과정에서의 시장구조, 규제, 경영전략을 분석한다.

(석 박)[공통]미디어문화연구: 사회변화와새로운접근 (Media and Cultural Studies: a new perspective)
본 과목은 커뮤니케이션의 현상을 문화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인간, 언어, 의미, 권력이라는 문화연구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고찰하되, 기존의 매스미디어 중심적인 구조로부터 디지털 환경에서 대중의 생각과 감정이 표출되는 상황으로 이동한 현실 변화에 주목한다. 디지털, 감정, 사유, 주체가 핵심어이며, 이 문제를 탐구하는 이론과 경험적 분석들에 접근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사 (Media History)
현대언론의 사상적 뿌리를 고대, 근대, 현대의 저명한 사상가들로부터 재해석함으로써 저널리즘 사상 연구의 철학적 깊이를 통찰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사연구 (Media History Research)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혁명의 의미를 미디어 역사의 발전과 진화라는 긴 안목에서 파악해 본다.

(석 박)[공통]미디어생산연구 (Media Production Studies)
미디어 생산과 노동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국내 미디어산업의 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의 실천적 구체화를 도모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연구세미나 (Media Research Seminar)
이 수업은 다양한 플랫폼(platforms)과 콘텐츠(contents)가 넘쳐나는 최근의 미디어 환경을 고려하여, 디지털 미디어 연구 전반을 매주 세미나 형식으로 다루고자 한다. 수강생들의 학술적 능력을 발전시켜, 논문의 발전 정도에 따라 학회 발표 및 학술지 게재를 최종 목표로 하는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디어 관련 주제를 학기초 개별 상담을 통해 수강생들의 연구목표에 따라 진행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주차별 세미나로 진행해 학술 논문을 단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주요 연구 대상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방송/인터넷/스마트미디어 및 그 하부의 다양한 유형/기능(뉴스/정보/오락, 게임, 쇼셜네트워크)등 이며, 연구 주제는 미디어 ‘정치․사회․문화/광고/홍보 등’ 효과 연구에서부터, ‘미디어 이용패턴, 미디어 철학, 미디어 정책’ 등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석 박)[공통]미디어와이용자연구 (Studies in the Media and User)
미디어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함에 따라 미디어 및 이용자 특성 역시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술적으로도 미디어에 대한 연구, 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연구들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수업에서는 방송미디어, 온라인미디어, 스마트미디어 등에 대한 미디어 자체를 고민하는 연구에서부터, 각 미디어별 이용자들의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를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특히, 미디어 이용자 연구는 이용자의 능동성과 수동성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여, 이용행태 및 이용효과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미디어와 수용자 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 역시 수시로 다룰 예정이며, 이용행태와 이용효과를 기반으로 필요에 따라 미디어 정책 연구로도 연결하고자 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윤리법제 (Law & Ethics of Communication)
언론과 관계된 윤리의식과 소양을 살피고 언론과 관련된 제반 법규들을 고찰하며 각국의 주요 언론법에 관한 연구를 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이용행태및효과연구 (Studies in Media Use and Effect)
다매체 다채널 환경에서 가장 급속하게 변화하는 것이 바로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이다. 최근 연구들을 보면, 이용자 별로 저마다 다른 이용패턴이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행태는 자연스럽게 미디어 이용효과의 변화로도 이어진다. 이 과목에서는 멀티 플랫폼 시대에 걸 맞는 파편화/분극화 된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패턴 연구들을 토론하며, 이를 배경으로 이용효과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한다. 이 수업은 ‘미디어 이용행태 연구 논문 혹은 미디어 이용효과 연구 논문’ 초안을 만들어 학술지에 투고/게재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초석을 마련하는데 목표를 두고자 한다. 이 외에도 수강생들이 원할 경우, ‘미디어 정책 결정과정이나 세부 미디어 정책연구’에도 연결해 이용행태 연구와 이용효과 연구들이 논의의 배경이 되도록 정리해 나가고자 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정책연구 (Understanding Media Policy)
본 교과목은 디지털 융합 환경 하에서 제기되는 미디어 관련 정책 이슈들과 논점들을 살펴보고, 미디어공공성과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대안들을 모색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제도와정책 (Media Institutions & Policies)
급변하고 있는 영상산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 경제학적 기본개념과 분석기법을 익히고 이를 한국의 영상시장에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 박)[공통]미디어콘텐츠세미나 (Media Contents Seminar)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디어 환경이 급속하게 변하면서 최근 학술적으로도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이 수업에서는 미디어 플랫폼(platforms) 및 미디어 콘텐츠(contents) 분야 전반을 연구주제로 하여 매주 세미나 형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수강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연구주제는 미디어 이용행태, 미디어 이용효과 뿐만 아니라, 미디어 이용조사 방법론 및 측정기술, 미디어 광고/홍보, 미디어 콘텐츠 산업 전략, 미디어 산업 정책 등 다양한 범주에서 모두 가능하다. 이 수업은 대학원생의 미디어 분야 학술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그 과정에서 개인별 논문 주제를 발전시켜 진행 수준에 따라 우수 논문의 경우 학회 발표 및 학술지 게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학기 초에 수강생 개별 상담을 통해 수행할 연구주제를 확정하고, 개인별 목표에 따라 학술 진행 계획에 맞춰 주차별 세미나를 통해 학술 논문으로 단계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한다.

(석 박)[공통]미디어확장과문화적융합 (Spreadable Media and Cultural Convergence)
This course will analyze the convergence of old and new media over the past decade and will look forward to the future of producers/consumers in the age of participatory culture. It will also examine how and why media spreads through a culture, particularly the role users and fans can have in influencing the contemporary corporate media.

(석 박)[공통]미디어환경변화와인간관계 (New environment of the media world and social relaitionship)
인터넷 미디어의 출현과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의 활성화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전통적인 연구 분야 즉 저널리즘, PR, 미디어, 정치, 그리고 공동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한계를 파악하고 이 분야 연구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 박)[공통]미디어효과론 (Effects of Media)
각종 매체의 효과이론들을 살펴보는 과목으로 효과이론들을 통해 매체별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 등의 토론으로 연결시킨다.

(석 박)[공통]빅데이터와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Big Data and Communication Network)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시대적 트렌드로 대두했다. "빅데이터 시대"에 과연 어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가능해졌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찰한다. 또한 빅데이터 시대에 많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해 뉴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것이다.

(석 박)[공통]사이버커뮤니케이션 (Cyber Communication)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를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새로운 매체의 본질과 특성을 점검하고 이러한 매체가 인간 생활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한다.

(석 박)[공통]새미디어와미래사회(Emerging Media & Forthcoming Society)
디지털 미디어로 특징지을 수 있는 정보사회에 대하여 많은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미래 사회에 대한 논리와 의견을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만들어가고 제시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목표이다.

(석 박)[공통]설득문제연구 (Persuasive Communication)
설득의 기법으로 광고와 홍보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그 효과와 관련된 이슈들을 논의한다.

(석 박)[공통]설득의심리와효과론 (Psychology of Persuasion and Effects)
설득에 관련된 많은 이론들을 익히고 설득 효과와 관련된 실증논문의 독해를 통해, 관련된 이론들을 정리하고 유형화하여 실제 학생들의 연구논문의 이론적 배경과 가설을 강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석 박)[공통]설득커뮤니케이션연구 (Persuasive communication study)
설득커뮤니케이션 효과, 설득 이론, 수용자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설득 메시지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제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석 박)[공통]소비자심리와행동 (Consumer Psychology and Behavior)
소비자의 인지, 감정, 행동에 대한 심리적 측면과 마케팅적 접근으로서의 소비자 행동에 관한 과목이다.

(석 박)[공통]소셜미디어 (Social Media)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소셜미디어에 관한 이론과 실무 양 측면에서의 지식 함양을 통해 소셜미디어 이용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함께 찾는 시간을 가진다.
첫째, 소셜미디어는 무엇인가? 혹은 소셜미디어는 어떻게 이해 되고 있는가?
둘째, 소셜미디어는 기존의 매스 미디어와 다른 유형의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어떤 차이를 지니는가?
셋째,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게 되는 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소셜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다섯째, 소셜미디어 이용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석 박)[공통]소셜미디어시대의문화소비 (Cultural Consumption in the Era of Social Media)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대중문화향유 및 소비의 양식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문화소비, 주체, 경제‧사회‧문화적 권력의 작동방식을 다각도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 환경변화와 소통의 문화, 주체와 사회적 권력간의 관계, 문화소비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하고,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생성하는 다양한 문화의 지형들을 살펴본다.

(석 박)[공통]양적데이터분석과논문연습 (research practice: analysis of secondary quantitative data)
기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직접 논문 한 편을 완성하는 논문쓰기 실습 과목이다. 개인별 혹은 팀별로 주제을 선정하여 이러한 주제에 관련된 데이터를 찾고 그 데이터를 양적으로 분석하여 논문을 쓴다.

(석 박)[공통]언어, 담론, 커뮤니케이션 (Language, Discourse, & Communication)
메시지를 구성하는 언어적 요소의 본질을 밝히고 그 특성을 탐구한다.

(석 박)[공통]여론의동학 (Dynamics of Public Opinion)
여론은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에서 강의되기 전에 이미 정치학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다뤄져 왔다. 정치학에서 바라보는 여론과는 달리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특정 시점의 여론의 역할과 기능보다는 여론의 생성과 변화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해 왔다. 이 과정에서 여론의 주체인 개인이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여론 과정뿐만 아니라 그 결과에도 큰 영향력을 미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최근 등장한 인터넷,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 기반 커뮤니케이션은 여론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수업에서는 여론의 변화 과정을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와 연동해서 논의할 것이다. 형식적인 면을 보면, 이 수업은 여론의 동학(dynamics)와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바탕으로 세미나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통미디어, 뉴미디어, 그리고 개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영향력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중점적으로 토론한다.

(석 박)[공통]영상미디어 (Visual Media)
영상미디어의 역사를 살펴보고,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서 영상미디어의 존재양식, 이용 및 실천 방식, 그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석 박)[공통]영상아트컨텐츠 (Visual Arts Contents)
영상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예술양식을 연구하고 여러 실례를 통해 이해하며, 영상콘텐츠 제작방법 실습을 통해 실제적으로 콘텐츠제작을 수행해본다.

(석 박)[공통]인간과디지털테크놀로지의이해 (Understanding Human and Digital Technology)
테크놀로지는 늘 인간과 함께해왔고, 인간은 이를 통해 자신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그리고 디지털 시대에, 테크놀로지는 이제 인간에게 필수불가결한 존재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개인은 물론 사회 그리고 국가적으로 디지털의 의미는 테크놀로지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디지털은 인간의 삶을 변화시킨다. 그렇다면, 인간의 존재의미는 디지털과 연계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인간은 그저 테크놀로지에 의해 종속되고 파편화된 존재인가? 본 수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철학적, 심리학적 그리고 사회학적 관점을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관점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평가함으로써 인간의 행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을 추구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사용자 중심의 패러다임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석 박)[공통]인간커뮤니케이션 (Human Communication)
휴먼커뮤니케이션 전반의 기초 이론을 점검하고 최근 연구경향을 소개한다.

(석 박)[공통]저널리즘연구 (Journalism)
뉴스 및 논평 등 저널리즘/언론보도 현상과 관련된 제이론들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석 박)[공통]정치커뮤니케이션과여론 (Political Communication & Public Opinion)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틀 안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여론을 개념화하고 측정하는지를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매스미디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본다.

(석 박)[공통]조직커뮤니케이션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조직 상황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본질과 특성을 소개하고, 실제 상황을 중심으로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찾아본다.

(석 박)[공통]질적방법론 (Qualitative Methodology in Media studies)
미디어 연구에서 사회적 현상으로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작동 방식 및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습득하고 활용 능력을 기른다. 기호학, 담론분석, 민속지학, 심층인터뷰, 참여관찰 등의 방법론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그 적용의 실제를 탐구한다.

(석 박)[공통]참여정치시대의미디어와여론 (Media & public opinion in a political participation era)
인터넷 그리고 이어 소셜미디어가 나타난 이후 변화된 여론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분석한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바탕으로 세미나식으로 진행된다.

(석 박)[공통]캠페인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of Writing Campaigns)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연구 관심 분야(헬스커뮤니케이션, PR)에 적용 가능한 캠페인 메시지와 실행 전략을 수립한다. 평가는 캠페인 성공 가능성과 이론적 타당성을 위주로 이루어진다.

(석 박)[공통]커뮤니케이션강독 (Reading in Communication)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전통의 하나인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이론적 지형과 과제를 살펴보는데 그 주요한 목표를 둔다.

(석 박)[공통]커뮤니케이션과사회문제Ⅰ (Communication and Social ProblemsⅠ)
네트워크 사회의 성격을 현 시점에서 이론과 산업적 차원에서 총괄적으로 개관해본다.

(석 박)[공통]커뮤니케이션과사회문제Ⅱ (Communication and Social ProblemsⅡ)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전통적인 공공영영과 사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것이 공영방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환경에서 공영방송의 공공(The Public)에 들어있는 시대적 의미를 살펴본다.

(석 박)[공통]커뮤니케이션심리학 (Psychology of Communication)
소비자행동의 기본개념, 소비자의사결정과정, 소비자정보처리과정, 소비자행동에의 영향요인 등을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어 습득한 소비자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마케팅전략과 커뮤니케이션에서의 활용능력을 개발하고자 한다.

(석 박)[공통]테크놀로지와헬스커뮤니케이션 (Technology and Health Communication)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헬스 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활용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석 박)[공통]통계방법연습 (Statistics Methods Practice)
미디어 관련 연구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통계방법들을 정리하고, 실제 토론 및 분석을 통해 사회통계방법에 대한 스킬을 연마하는데 목표를 둔다. 처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 및 조사의 구성에서부터, 실제데이터수집, 데이터보정, 데이터기초분석, 데이터연구분석 스킬 등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석 박)[공통]통계적분석과논문작성 (Ap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in Thesis & Dissertation Work)
양적 연구방법론과 통계적 지식의 결합을 통한 실제 논문작성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설계된 강의로, 기본적인 양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한 논문의 설계와, 실제 데이터 수집에 이은 SPSS분석 실습으로 구성된다.

(석 박)[공통]현대미디어문화연구 (Modern Media Culture Research)
우리 삶의 문제로서 미디어/문화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로서 현대 미디어 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사회의 언론, 소통, 문화정치를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능력을 함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