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과정
(석사) 도시폐기물처리 특론(Advanced Solid Waste Treatment)
도시폐기물의 발생원, 구성, 물리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폐기물의 수집, 분리·저장, 수집, 수송, 처리 및 처분 등을 다룬다.
(석사) 유해폐기물처리 특론(Advanced Hazardous Waste Treatment)
유해폐기물의 물리화학적·생물학적·열적 처리방법, 안정화 및 고형화 등을 다룬다.
(석사) 열분해론(Pyrolysis and Gasfication)
열분해의 개념을 정립하고 열분해 기술개발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다룬다.
(석사) 폐기물분석 및 실험(Analysis and Lab of Waste)
폐기물재료에 대한 각종 분석 및 소규모의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성능결과 등을 분석한다.
석박사공통과정
(석 박) 폐기물 시설 설계 특론(Advanced Waste Treatment Devices Design)
각종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산업 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폐기물 처리 기법을 선정하고, 처리 시설을 최적 설계하는 방안 등을 다룬다.
(석 박) 폐기물관리 특론(Advanced Waste Management)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중간처리 시설과 최종처분장의 효율적 관리 방안을 학습한다.
(석 박) 도시폐기물관리 특론(Advanced Solid Waste Management)
도시폐기물의 분리, 변형, 리사이클링, 매립지의 폐쇄, 개선 및 폐기물관리시설의 계획, 입지, 허가 등을 다룬다.
(석 박) 유해폐기물관리 특론(Advanced Hazardous Waste Management)
유해폐기물에 대한 환경감사, 오염예방, 시설운전 및 위해도 평가 등을 다룬다.
(석 박) 소각이론과 실제(Combustion Theory and Its Application)
소각이론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소각로내의 가스유동해석 등을 다룬다.
(석 박) 퇴비화 이론과 실제(Combustion Theory and Its Application)
호기성·혐기성 퇴비화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폐기물, 유기성폐기물, 가정 및 축산폐기물, 농축산폐기물 및 슬러지의 퇴비화 등을 다룬다.
(석 박) 폐기물의 자원화(Resource Recovery and Recycling)
폐기물의 자원화 추진정책, 자원화를 위한 경제조치 및 자원화 기술사례 등을 다룬다.
(석 박) 슬러지의 처리(Sludge Treatment)
슬러지의 물리화학적·생물학적 처리방법, 안정화 및 고형화 등을 다룬다.
(석 박) 분뇨처리(Night-Soil Treatment)
분뇨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처리방법, 호기성소화 및 습식 고온산화처리 등을 다룬다.
(석 박) 전과정평가론(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평가의 방법론, 적용 및 사례연구, 비용계산, 시스템분석 등을 다룬다.
(석 박) 방사성 폐기물학(Radioactive Waste)
방사성폐기물의 관리와 규제, 처리프로세스 및 처분법 등을 다룬다.
(석 박) 지하수 오염 방지공학 특론(Advanced Groundwater Pollution Control Engineering)
지하수내 오염물질의 이동을 제어하고 오염토양을 정화·복원하는 기술 및 실제 복원 사례 등을 다룬다.
(석 박) 토양오염 방지공학 특론(Hazardous Wastesite Soil Remediation)
토양내 오염물질의 이동을 제어하고 오염토양을 정화·복원하는 기술 및 실제 복원 사례 등을 다룬다.
(석 박) 환경복원기술 특론(Advanced Remediation Engineering)
각종 환경복원기술에 대한 기본 원리, 적용 범위 및 장·단점에 대하여 검토한다.
(석 박) 용수처리공학 특론(Advanced Water Treatment)
고도처리 및 슬러지 처리·처분을 포함하여 용수처리에 필요한 각종 공정에 대한 원리, 적용 범위 및 장·단점에 대하여 검토한다.
(석 박) 용수처리시설 설계 특론(Integrated Design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용수처리시설 설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실제 설계사례 등을 통하여 용수처리시설 설계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석 박) 지하수 수리학 특론(Advanced Groundwater Hydraulics)
지하수 유동에 관련된 현상 및 유동 예측을 위한 수치모델 등을 다룬다.
(석 박) 오염물질의 이동 및 변환(Pollutant Transport and Fate in the Subsurface)
지하수내 오염물질의 이동 및 변환 현상을 다루며, 예측을 위한 수치모델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한다.
(석 박) 수리지질화학 특론(Applied Chemical Hydrogeology)
지하수내 오염물질의 변환 현상을 지질화학적인 측면에서 다루며, 이에 관련된 수치모델 등을 검토한다.
(석 박) 자연정화 기법(Natural Attenuation of Fuels and Chlorinated Solvents in he Subsurface)
토양 및 지하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각종 자연정화능에 대한 이론 및 평가기법 등을 다룬다. 실제 평가사례 및 장기 관측 시스템의 설계·설치 등을 검토한다.
(석 박) 환경복원시설 설계(Design of Remediation Systems)
환경복원시설 설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실제 복원 사례들을 통하여 환경복원시설 설계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석 박) 개수로 수리학(Open Channel Hydraulics)
자연적이나 인공적인 개수로에서 물의 흐름의 특성을 분석, 강이나 하천의 흐름, 유량측정, 홍수시 물의 역류, 댐 하류의 급류에 대한 연구를 한다.
(석 박) 수질관리 모델(Water Quality Modeling)
지표수의 오염원인과 경로를 규명하고 수질 개선 방법을 수치 모형으로 규명한다.
(석 박) 지하수 모델(Groundwater Models)
지하수의 오염원인과 경로를 규명하고 오염된 지하수 대수층의 수질 개선 방법을 수치 모형으로 규명한다.
(석 박) 해양오염 특론(Special Topics in Marine Pollution)
해양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물리, 화학, 생물, 지질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컴퓨터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의 감축방안을 논의한다.
(석 박) 비점오염 특론(Special Topics in Non-point Source Pollution)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해석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저감방안을 모색한다.
(석 박) 수문학 특론(Special Topics in Hydrology)
강우현상과 연계된 물의 이동현상을 오염물질의 이동과 연계시켜 논의한다.
(석 박) 지하수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of Ground Water)
컴퓨터 언어와 스프레스 시트를 이용한 지하수의 거동을 논의하고 이와함께 오염 저감방안을 연구한다.
(석 박) 환경 통계학(Environmental Statics)
지표수 및 지하수의 이동을 해석하고 오염물질의 거동을 해석할 때 도구가 되는 통계처리 기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논의한다.
(석 박) 수질화학 특론(Advanced Water Chemistry)
자연계 또는 오염된 환경에 존재하는 수계내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화학반응의 개념과 오염처리공정에의 응용 예를 학습한다.
(석 박) 환경 미생물학 특론(Advanc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본 과목에서는 오염된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등을 처리함에 있어 사용되는 미생물들의 특성과 생장조건 등을 학습함으로써 미생물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들 미생물들의 이용 예를 학습한다.
(석 박) 환경 유기화학 특론(Advanced Environmental Organic Chemistry)
본 과목에서는 환경공학에 필요한 유기화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환경에 유해한 유기화합물질들의 특성 및 처리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석 박) 혐기성 처리공정 특론(Advanced Anaerobic Treatment Process)
본 과목에서는 생물학적 처리공정 중에서 혐기성 미생물들의 작용에 의한 폐수처리과정을 자세히 공부해 보고자 한다. 즉 혐기성 처리공정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의 특성, 성장조건 등을 공부하고 다양한 혐기성 처리공정들을 비교·검토하고자 한다.
(석 박) 화학적 복원기술 특론(Special Topics in Chemical Remediation Technology)
유해성분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고급 산화·환원공정의 원리에 대해서 학습한다.
(석 박) 환경 기기분석(Instrumental Analysis for Environmental Engineers)
환경오염물질의 정성 및 정량적 분석을 위한 기기의 종류와 원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분석실습을 통하여 실제적 분석기술을 익힌다.
(석 박) 환경오염 이동현상(Contaminant Transport Phenomena)
다상계 환경시스템에서 오염물질의 거동에 대한 수학적 해석능력을 학습한다.
(석 박) 환경반응공학 특론(Special Topics in Environmental Reaction Engineering)
환경처리시스템에서 반응기의 최적설계를 위한 이론과 공정해석을 위한 data 분석방법을 학습한다.
(석 박) 현장복원공정설계(Contaminated-Site Assessment and Remediation Process Design)
현장 오염부지의 진단기술과 적합한 복원공정 선정 및 설계기술을 학습한다.
(석 박) 고급 산화·환원 처리공정(Advanced Oxidation and Reduction Treatment Process)
유해성분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고급 산화·환원공정에 대한 원리 이해와 최신 응용기술을 연구한다.
(석 박) 환경 분리공정 특론(Special Topics in Environmental Separation Process)
오염물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따른 분리기술의 종류 및 각각의 기술원리에 대한 설명과 최신 관련기술을 연구한다.
(석 박) 오염물질 이동현상(Contaminant Transport Phenomena)
다상계 환경 처리시스템에서 오염물질 성분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석 박) 환경 모니터링 특론(Special Topics in Environmental Monitoring)
환경오염의 확산 예방과 정화과정 진단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 기술과 측정장비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 분야의 최근 외국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
(석 박) 반응기 설계 및 Data 분석(Reactor Design and Data Analysis)
환경 처리시스템에서 반응기의 최적설계를 위한 이론과, 공정해석을 위한 data 분석 방법을 학습한다.
(석 박) 환경공정 기기제어(Instrumental Control of Environmental Process)
환경 처리시스템의 최적 조건을 위한 기본적 제어기기 구성과 조합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적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석 박) 환경 응용수학(Applied Mathematics for Environmental Engineers)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한 환경 모델식의 풀이와 컴퓨터를 이용한 여러 가지 환경공정 해석을 통하여 환경 프로그래머로서의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석 박) 기-고 반응 속도론(Gas-Solid Reaction Kinetics)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물질과 대기오염물질간의 반응 속도론을 소개하고 반응 메카니즘에 따른 기-고 반응모델의 적용 및 kinetics의 해석기법을 다룬다.
(석 박) 배가스 처리공정 특론(Special Topics in Flue Gas Cleaning Process)
고정원과 이동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가스상과 입자상 오염물질을 제어하는 원리들을 다룬다. 유체내의 입자동력학과 입자들의 물리화학적 특성들에 대하여 논의하며 흡수와 흡착이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석 박) 고급 에어로졸 공학(Advanced Aerosol Engineering)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분석방법, 생성메카니즘, 입자동력학을 다루고 에어로졸 제거기술과 에어로졸 이용 기술에 대하여 논의한다.
(석 박) 대기오염 연속측정시스템 설계(Design of Continuous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대기중의 가스상 및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대기질 측정기의 분석원리를 고찰하고 굴뚝 배연 측정기를 이용한 원거리 측정 시스템의 설계 기법을 소개한다.
(석 박) 유동화공학(Fluidization Engineering)
유동층 반응기내에서의 열전달, 물질전달특성을 고찰하고 대기오염제어 공정에 응용되는 유동층반응기의 해석과 모델링을 다루고자 한다.
(석 박) 환경촉매반응공학(Environmental Catalytic Reaction Engineering)
본 교과목에서는 환경촉매에 관한 기본적인 원리와 광촉매와 같이 환경촉매를 이용한 최근기술들을 다룬다. 촉매제조,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분석, 촉매반응 속도론, 촉매의 비활성화 그리고 촉매반응기 설계가 논의될 것이다.
(석 박) 다상반응기 해석 및 설계(Multiphase Reactor Analysis and Design)
슬러리 반응기, 기포탑 반응기와 같이 기/액 또는 기/액/고상의 다상 반응기에서 대기오염물질의 저감 메카니즘, 반응특성과 유체 혼합특성을 고려한 다상반응기 설계 이론을 다룬다.
(석 박) 생물학적 복원기술 특론(Special Topics in Bioremediation)
유해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생물학적 복원공정의 원리, 복원기술, 복원시스템의 설계에 관하여 학습한다.
(석 박) 논문특별연구세미나(Lab.Seminar)
본 과목은 2학기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과목으로 학생들의 학위논문에 관한 연구에 제반된 사항들을 지도교수와 협의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석 박) 세미나(Seminar)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에게 발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 주제에 관하여 자신의 주장을 요약·발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석 박) 용수처리공학 Ⅱ(Water Treatment Engineering Ⅱ)
고도 정수처리에 관련된 다양한 수처리 기술들을 이해하고 각 분야별 SCI 급 논문들을 검토하 여 세계적인 연구 추세를 파악하고자 한다.
(석 박) 광해기술특론(Special topics on mine reclamation)
광산개발로 훼손 오염된 자연과 환경을 복구하기 위해 광산폐수처리, 토양복원, 광미장 안정 화, 식생 등과 같은 현장적용성 기술들을 이해한다.